주니어 개발자에서 멈춰 있을수만은 없다! 연차는 쌓이는데 자신의 실력도 쌓여야겠죠? 시니어 개발자들은 어떻게 하는지 탐구해봅시다.
모든 시니어 개발자도 처음에는 기초적인 코딩 실력과 컴퓨터 과학 지식을 가진 주니어 개발자였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설계 패턴, 아키텍처 원칙, 고급 프로그래밍 개념, 도메인 지식을 익히며 성장하고, 제품의 큰 그림을 이해하는 시니어 개발자로 발전하게 됩니다.
⚙️ 과도한 아키텍처 설계 (Overengineering the Project Architecture)
화가가 그림으로 자신의 능력을 표현하듯, 개발자는 코드로 실력을 드러냅니다. 잘 설계된 아키텍처는 단순성과 효율성을 강조해야 합니다. 기술력을 과시하기 위해 불필요하게 복잡한 구조를 도입하면 오히려 팀에 부담이 됩니다.
❌ 불필요한 마이크로서비스 사용
# 작은 프로젝트에 불필요한 마이크로서비스 구조
class UserService:
def create_user(self, data):
pass
class ProductService:
def add_product(self, product):
pass
# ✅ 간단한 모놀리식 구조로 개선
class App:
def create_user(self, data):
pass
def add_product(self, product):
pass
✅ 시니어 개발자는 단순하면서도 확장 가능하고 유지 보수가 쉬운 아키텍처를 선호합니다.
반응형
🧩 "완벽한" 코드를 작성하려는 과도한 집착 (Overengineering the Codebase)
설계 패턴은 코드의 유지 보수성을 높이지만, 완벽함을 추구하는 것은 오히려 복잡성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완벽한 코드는 존재하지 않으며, 현재 요구 사항에 충분히 좋은 코드가 가장 이상적입니다.
🏗️ 기술 부채를 무시하는 태도 (Ignoring Growing Technical Debt)
기술 부채는 단기적인 개발 속도를 위해 장기적인 유지 보수성을 희생할 때 발생합니다. 이를 방치하면 제품의 수명이 단축됩니다.
❌ 기술 부채가 있는 코드
user_data = fetch_data()
if user_data != None and len(user_data) > 0:
process(user_data)
✅ 리팩토링 후 개선된 코드
def is_valid_data(data):
return data is not None and len(data) > 0
user_data = fetch_data()
if is_valid_data(user_data):
process(user_data)
✅ 시니어 개발자는 지속적으로 코드 리팩토링과 리뷰를 통해 기술 부채를 관리합니다.
📝 나쁜 코드를 주석으로 숨기기 (Using Comments to Hide Bad Code)
주석은 코드의 가독성을 높이지만, 잘못된 코드를 정당화하는 용도로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 나쁜 예
# 이니셜 포함 이름 생성
fullname = input("Fullname: ")
p = fullname.strip().split(" ")
name = "".join([n[0].upper() + "." if i < len(p) - 1 else " " + p[-1].title() for i, n in enumerate(p)])
print(name)
✅ 개선된 코드
def format_name_with_initials(fullname):
parts = fullname.strip().split(" ")
initials = ".".join([part[0].upper() for part in parts[:-1]])
return f"{initials}. {parts[-1].title()}"
fullname = input("Fullname: ")
print(format_name_with_initials(fullname))
✅ 시니어 개발자는 주석 없이도 이해할 수 있는 깔끔한 코드를 작성합니다.
⏳ 구식 기술에 집착하기 (Sticking to Old-fashioned Technologies)
레거시 기술에 대한 경험은 가치가 있지만, 구식 도구에만 의존하면 성장에 한계가 있습니다. 최신 기술을 학습하고 적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